Project Description

Gallery

The 3rd Gwangju Architecture Competition
기획전

PLACE REMODELING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창 | 정현아

캠퍼스 마스터플랜은 기본적으로 학생들의 일상과 다양한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들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공간, 행정업무공간, OPEN-SPACE등의 여러 구성 중에서 학생회관은 단연 가장 자유로운 공간이면서도 학생들의 진솔한 모습을 담는 가장 진실된 공간적 특징을 가진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대학의 비전과 학생들의 모습, 그리고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기 위해서는 오래된 옷이 되어버린 현재 학생회관의 모습을 탈바꿈해야 할 시기일 것이다. 학생회관은 단순히 하나의 개별공간이 아니라 캠퍼스 전체를 아우르는 구심성을 지닌 중요한 장소 중 하나이다. 우리는 40여년간 쌓여온 장소의 역사성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새로운 모습에 맞는 비전을 제안하여 상실된 정체성을 복원하고 캠퍼스 활동의 중심이 될 오래된 미래를 계획하고자 한다.
제1학생회관
Re-emphasis of the OLD
봉지광장을 중심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을 간직하고 이끌어줄 TIME CLUSTER 제안
Future vision for the NEW
새로운 중심성의 재구성을 위해 다양한 증축 프로그램으로 분산된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
Program recompose for architectural BALANCE
프로그램간의 합리적인 조닝과 브라우징스테어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캠퍼스 구성으로 구심성을 회복하고 외부공간의 재구성을 통해 다중심화된 접근동선에 대응
제2학생회관
Re-emphasis of the OLD
위압적인 전면을 개선하기 위해 노후화된 전체입면과 더불어 과거와 현재, 그리고 사람을 이어주는 INTWEEN SPACE(人+between)를 삽입하여 건축적 개연성을 높임
Future vision for the NEW
학생회관의 정체성이 오픈될 수 있도록 다양한 관계를 잇는 3개의 LINKING CORRIDOR를 삽입해 공간간의 위계를 재정의하고 다양한 관계를 재구성
Program recompose for architectural BALANCE
기존의 외부공간을 확장한 INTWEEN PARK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생활동을 연계하고 학생회관의 구심성 회복